• 조회 수 1138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결로현상.png

    결로.png

    시공사가 도면대로 시공을 하지 않아서 실내 결로가 발생한 경우, 그에 관한 하자보수 책임이 발생함에는 이견이 없으나, 시공사가 예정된 도면대로 시공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결로가 발생한 경우, 이를 아파트의 하자로 판단할 수 있을지 문제가 된다. 실내 결로는 결국 실내외의 온도차와 창호가 제공할 수 있는 단열 기능에 기본적으로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창호제작에 대한 K.S 기준은 실내 온도 20도 정도 및 습도 50% 정도로 되어 있고 창호의 성능이 이를 충족한 경우 창호 자체의 법규위반의 문제는 없다 할 것이다. 위와 같은 K.S 기준은 정부가 산업정책인 차원에서 겨울철 실내온도를 20도 정도로 맞추어서 생활하라고 하고 일종의 정부에서 권장하는 온도와 습도라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 결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나, 현실적으로 상기 온도를 유지하며 생활하는 세대가 거의 없으므로, 아무리 단열재나 그에 관한 시공이 잘 이루어지더라도 결로에 관한 공사상 하자에 관한 다툼은 아파트 시공에서 피할 수 없이 내재된 부분이라 할 것이다.

    결로 현상으로 촉발되는 곰팡이는 주로 온난 다습한 환경에서 발생하게 되므로, 세대내 결로가 발생하는 위치는 거의 일치하는데, 결로 현상이란 수분을 포함한 대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떨어져 대기가 함유하고 있던 수분이 물체 표면에서 물방울로 맺히는 현상으로, 겨울철 실내와 실외 온도차 때문에 생기는 이러한 결로, 곰팡이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게 된다.

    첫째 입주민의 ‘사용상 과실’로 인한 하자, 둘째 설계자의 단열재 부분 적용 오류에 따른 ‘설계상 하자’, 셋째 단열재 부실시공에 따른 ‘시공상 하자’ 등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결로 현상이 발생됨을 알 수 있으며, 위의 결로 발생의 원인 중 시공사의 하자보수담보 책임 범위는 단열재 부실시공에 따라 열교가 발생되는 구간으로 제한되는 것이 마땅하며, 발생 그 자체만으로 시공사의 잘못으로 보는 것은 부당하고, 실내 공기의 습도도 주요한 원인이므로, 사용자의 습도 관리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하자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발코니 결로 및 곰팡이 발생에 관하여는, 발코니 외부 새시의 시공 주체에 대하여 시공사가 시공한 것인지, 각 입주민들의 개별적인 설치인지 확인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입주자들은 주방 발코니에 세탁기를 놓고 사용하고 있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온수를 배수하는 과정에서 수증기가 발생되는데, 발생된 수증기는 환기를 통하여 습도을 낮게 만들어 주어야 하나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아니할 경우 그 습도는 결로수가 되어 결국 곰팡이로 발전할 수밖에 없다.

    서울중앙지방법원 건설소송실무연구회에서 2011. 9. 27. 발표한 건설감정 실무지침의 결로하자 판정 기준에 따르면 발코니 새시 시공 주체에 따라 보수 책임을 구분하고 있으며, “구분 사용자가 사용검사 이후 임의로 새시 공사를 한 경우, 결로로 인한 하자의 원인이 외부 새시로 판단될 시에는 하자의 보수 책임은 분양자가 아닌 새시 업자에게 있으므로 시공사의 하자에서 제외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라고 하여 입주민이 새시를 시공한 경우 발생한 결로 하자는 시공사의 책임이 아니라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발코니는 외기에 해당되는 공간으로 설계 당시부터 발코니 외부 창호를 시공할 것을 예정하지 아니하여, 단열재 시공을 고려하지 아니한 것으로, 이러한 발코니 결로와 곰팡이는 피고의 공사상의 잘못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실내 결로를 가사 하자로 판단함에 있어도, 총 세대수 중에서 결로 하자가 발생한 세대와 발생하지 않은 세대의 비율, 수분양자들에게 분양 과정에서 실내 습기와 창호 관리에 관하여 주의 사항 및 사용 방법을 고지하였는지 여부 등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공지사항

    Z:IN windowplus 공지사항을 알려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LG하우시스 사명 변경 안내 file 관리자 2021.07.06 607
    공지 지인 윈도우플러스 무료출장컨설팅 이벤트 file 관리자 2019.07.15 6221
    공지 2019년 그린리모델링 이자지원 사업 대상 공고 file 관리자 2019.02.22 848
    공지 2018년 민간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이자 지원 사업의 개요 file 관리자 2018.07.30 327
    공지 2018년 부터 자동으로 10년 품질 보증 등록이 됩니다 관리자 2018.07.30 283
    공지 2017 민간 그린리모델링 이자지원 대상사업 모집 공고 file 관리자 2017.02.17 696
    공지 ★2017년 서울시 건물에너지 효율화 융자지원시스템 가입안내 file 관리자 2017.02.17 500
    공지 강화된 창호 단열기준, 오는 7월부터 본격시행!!!!!! file 관리자 2016.04.11 44930
    공지 로이유리( Low-E ) 확인하는 방법 file 관리자 2016.02.15 52251
    공지 ★공지★ '10년 품질보증' 등록하는 방법 file 관리자 2016.02.15 44924
    공지 정품시공의 중요성!! 강추위에 신축 아파트 200세대 창호절단, 기술적 결함 있는 제품으로 시공 관리자 2016.02.05 44474
    공지 그린 리모델링 신청건수 1년새 8배 급증 file 관리자 2016.01.21 44614
    공지 그린리모델링 (2016년) 이자지원 대상사업 모집 공고 file 관리자 2016.01.06 44806
    공지 필수 월동준비!!!! 결로현상 ~미리알고 예방하세요!!!!!! file 관리자 2015.11.25 44814
    공지 “첨단 창호 설치땐 年 170만원 절감” file 관리자 2015.09.23 45017
    공지 친환경 주택 건설기준 및 성능 개정-신축아파트 에너지 의무 절감률 40%로 강화 file 관리자 2014.11.06 83463
    공지 창호 단열기준 강화에...고기능성 창호 '신났네' (로이유리는 기본) file 관리자 2014.10.10 84330
    공지 장마철 주택관리 나는야 주부100단 file 관리자 2014.07.09 87123
    공지 '스파이더맨 도둑주의보' 아파트창문 잠그세요(자동잠금핸들의 중요성!!) file 관리자 2014.03.19 117441
    » 공동주택 결로발생 원인과 문제점 file 관리자 2014.03.19 113865
    65 홈쇼핑 상반기 최우수 대리점 선정 ! file 관리자 2020.07.21 780
    64 파워세이브 신제품 출시 ( 아파트 내창, 빌라, 단독주택용) file 관리자 2016.04.01 7220
    63 창호도 "예뻐야 잘 팔린다"...붙붙은 손잡이 '전쟁' file 관리자 2016.03.17 5957
    62 직접 보고 고른 '쇼룸' 형태 전문 매정에서 트렌드 한눈에! _ 상담, 견적, 시공, A/S 다양한 서비스 받아 file 관리자 2015.01.12 2928
    61 우리 집 봄맞이, 노후된 창호 교체부터 시작하세요 file 관리자 2020.02.21 535
    60 엘지창호 정품을 꼭 확인 하세요. ~~~지인 창호에는 지인유리!!! file 관리자 2015.10.12 3831
    59 시행 2주년 '창호등급제' 개점휴업 논란...왜? file 관리자 2014.09.12 2501
    58 슈퍼세이브창 한정특가출시 이벤트 file 관리자 2013.02.13 28594
    57 서울시주택에너지효율화사업 2015년도 윈도우플러스 마포점 진행현황 file 관리자 2015.12.28 6386
    56 서울시, 건물효율화사업에 150억원 지원 file 관리자 2014.03.19 27940
    55 매년 찾아오는 불청객 '태풍', 우리 집 창문은 안전할까? file 관리자 2020.03.17 666
    54 로이유리 시장 급성장 "이유 있었네" 관리자 2015.11.25 3006
    53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홈 인테리어 증가, 창호의 중요성 높아져 file 관리자 2020.02.05 619
    52 동장군 오기 전에 창호 교체 성수기, 10월 그린리모델링 실적 급증 관리자 2015.12.09 1809
    51 동장군 앞두고 '고단열' 창호 인기몰기…"건자재업계, 고객 잡기 제품 라인업 강화" file 관리자 2015.11.25 3227
    50 단열 성능 가진 기능성 창호, 난방비 줄이는 일등공신 file 관리자 2020.01.28 327
    49 노후된 창호, 그린리모델링 혜택받아 기능성 창호로 교체 가능해 file 관리자 2020.01.15 40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